Home > 알림 광장 > 취업 정보

Employment

취업 정보

공지사항 :

청년 고용한파 굳어지나…체감실업률·고용률 4년만에 최대 악화

'불완전 취업·경력직 선호' 등 영향…구직시장 이탈 '쉬었음' 9개월 연속 증가

정부 "올해 공공기관 신규채용 2만4천명 목표…청년 장기 인턴도 늘리겠다"

청년·건설업 '고용 한파'
청년·건설업 '고용 한파'

(서울=연합뉴스) 이진욱 기자 = 지난달 정부의 공공근로 등 직접 일자리 사업이 재개되면서 취업자가 증가세로 돌아섰지만 제조업·건설업 중심으로 고용 부진은 계속됐다.
건설업 취업자는 건설경기 불황 여파로 2013년 집계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줄었고 제조업 일자리도 반년 넘게 감소세가 이어졌다. 14일 서울 마포구 서울서부고용복지플러스센터 일자리정보 게시판 앞에 건설기계정비학원 안내문이 놓여 있다. 2025.2.14 cityboy@yna.co.kr

(세종=연합뉴스) 이대희 기자 = 지난달 청년층(15∼29세)의 체감실업률과 고용률이 약 4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악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달 청년층의 고용보조지표3(체감실업률)은 1년 전보다 0.8%포인트(p) 오른 16.4%를 기록했다.

지난달 청년층 고용보조지표3의 전년대비 증가폭은 2021년 2월(26.8%)의 3.7%p 이후 3년 11개월 만에 가장 컸다.

고용보조지표3은 노동시장에서 채워지지 못하는 실질적 일자리 수요를 포괄해 나타내는 지표로, 피부로 느끼는 고용 상황을 보여준다는 의미에서 '체감실업률'이라고도 불린다.

고용보조지표3은 2021년 1월 27.2%를 정점으로 하락 추세를 보였다. 전년대비로 보면 2021년 3월부터 45개월 동안 단 한 번도 상승하지 않았다.

그러나 지난해 12월 전년대비 0.5%p 상승한 16.0%를 기록하고 지난달에는 상승 폭을 더 키웠다.

청년층 실업률은 6.0%로 1년 전과 같았고, 실업자 수는 23만명으로 1만6천명 줄었지만 체감상 어려움이 갑작스레 커졌다는 뜻이다.

고용보조지표 정의
고용보조지표 정의

[통계청 제공. DB 및 재판매 금지]

청년 체감실업률이 크게 악화한 것은 '불완전 취업 상태'인 청년들이 크게 늘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지난달 경제 활동을 하고는 있지만 더 많이 일하길 원하는 '시간 관련 추가 취업 가능자'의 수는 13만1천명으로 1년 전보다 4만1천명 늘었다. 역시 2021년 2월(4만6천명) 이후 3년 11개월 만에 가장 큰 증가 폭이다.

시간 관련 추가 취업 가능자는 주당 취업 시간이 36시간 미만이면서 추가 취업 의사와 능력이 있는 이들이다.

경제활동인구조사에서 "현재 하는 일의 시간을 늘리고 싶다", "현재 하는 일 이외의 다른 일도 하고 싶다", "더 많은 시간을 일할 수 있는 일(직장)로 바꾸고 싶다"고 답한 이들이다.

결국 이들은 일단 취업자로 통계에 잡히지만, 정규직 등 안정된 일자리가 한정된 상황에서 취업에 실패하거나 구직 기간이 길어지는 청년들이 생계 등을 위해 임시·단기 일자리에 뛰어들고 있다는 뜻이다.

반면 지난달 청년층 고용률은 취업자가 큰 폭(-21만8천명)으로 줄면서 1.5%p 하락한 44.8%를 기록했다.

2021년 1월(-2.9%p) 이후 4년 만에 최대 낙폭으로, 경기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경력직 채용 비중이 커진 점이 주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일자리 시장이 이렇다 보니 지난달 뚜렷한 이유 없이 일도 구직 활동도 하지 않는 '쉬었음' 통계도 청년층에서 전년 동월 대비 9개월 연속 증가해 43만4천명을 기록했다.

이런 통계로 볼 때 경기 악화가 후행지표인 고용에 본격적으로 반영되며 고령층이 고용시장을 견인하고 청년층에서는 감소하는 추세가 본격적으로 굳어지기 시작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정부의 경제 상황 인식을 보여주는 '최근 경제동향(그린북)'에서 기획재정부는 지난해 5월부터 '내수 회복 조짐'이라는 표현을 사용했다가 11월 뺐다. 지난 14일 발표한 2월호에서는 '내수 회복 지연'이라는 표현이 새로 등장했다.

정부는 본격적으로 시작될 조짐이 보이는 청년 고용 악화 고착 흐름을 끊기 위해 일단 양질의 일자리로 불리는 공공부문에서 '마중물'을 댈 방침이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지난 14일 민생경제점검회의에서 "공공기관 신규채용을 작년 2만명에서 올해 2만4천명으로 확대하고, 인턴도 청년이 선호하는 장기인턴 비중을 높이겠다"며 "기업 고용애로 해소 핫라인을 설치하여 민간의 일자리 창출을 적극 뒷받침하겠다"고 말했다.

[표] 고용보조지표·쉬었음 통계표 등

시점시간관련 추가취업가능자잠재경제활동인구고용보조지표3쉬었음
천명증감천명증감%증감(%p)천명증감
2025.0113141320-3516.40.843430
2024.1213336303-6216.00.541145
2024.1112519293-7115.1-0.440862
2024.101199305-4915.20.041852
2024.09119-11302-8614.7-1.644269
2024.081484318-5914.7-1.046056
2024.07120-15324-5515.4-1.444342
2024.06108-29318-6315.5-1.542640
2024.051402312-6816.50.039813
2024.04102-18327-8216.1-1.4400-14
2024.0397-22348-5216.2-1.6403-5
2024.02109-2349-6716.4-1.5443-54
2024.0190-9354-7815.6-1.3403-56

※ 출처 :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91 서경대학교 금융정보공학과 금융권취업 준비반 활동과 자소서 컨설팅 프로그램 file 서기수교수 2025-04-02 57
190 오늘의 채용] GS25‧신한은행‧LX판토스 서기수교수 2025-03-17 1279
189 일 잘하는 신입보다 조직문화에 적응잘하는 신입이 최고 file 서기수교수 2025-03-17 1191
188 5대 시중은행 올 상반기 공채 시작…농협銀, 하반기에 채용 서기수교수 2025-03-04 1837
187 연봉 1억원 신의직장’ 이라는데…"취업하기 더 힘들어졌다" 한숨 서기수교수 2025-03-04 1653
186 전북은행, 2025년 대학생 서포터즈 5기 모집 file 서기수교수 2025-03-04 2122
185 ‘꿈의 직장’ 금융권 취업문 좁아진다 서기수교수 2025-02-19 2498
184 취업 못하고 은행 문턱은 높아지고…'빚'도 못내는 청년들 서기수교수 2025-02-19 2266
» 청년 고용한파 굳어지나…체감실업률·고용률 4년만에 최대 악화 서기수교수 2025-02-19 2162
182 지식 나눔 나선 금융권…어린이·취준생·소상공인 교육 지원 서기수교수 2025-01-24 3145
181 AFPK와 CFP를 미리 취득하게 하는 학과!!!! 서기수교수 2025-01-24 3606
180 Z세대 43% “신입 취업, 나이 제한 없다” 서기수교수 2025-01-14 4943
179 “금융권 취업 찬스!”… 신입·인턴 채용 ‘후끈’ 서기수교수 2025-01-14 4759
178 2025년 금융권 채용 예상 일정 공지!! file 서기수교수 2024-12-20 7082
177 [이슈 In] '취업 스펙'도 다이어트가 필요하다 서기수교수 2024-11-05 12077
176 대학생 10명 중 6명 "AI로 취업 준비한다" 서기수교수 2024-11-05 12170
175 좁아지는 금융권 취업문…지방은행은? 서기수교수 2024-10-05 22725
174 "취업 혹한기라던데"…증권업계, '우수 인력 잡아라' 채용 활발 서기수교수 2024-10-05 24747
173 연봉은 많이, 영업 압박은 제로…업무환경에 매료됐어요” 인뱅 취업콘서트에 경력자 몰렸다 서기수교수 2024-10-05 23086
172 금융권 채용 때 아닌 '한파'…경기불황에 '허리띠 졸라매기' 서기수교수 2024-09-22 23478

교내퀵링크 Quick Links

교과목 이수체계도
전공교과목 상세안내
현재 페이지 QRCode
금융정보공학과 학사일정학교 및 학과 학사일정
금융정보공학과 싸이클럽싸이월드 클럽
N 공지사항
J 취업정보
G 갤러리
R RSS
구글 번역기를 이용해서 번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주세요~

금융정보공학과 사이트맵 금융정보공학과 사이트맵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