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알림 광장 > 취업 정보

Employment

취업 정보

공지사항 :

서경대학교 금융정보공학과는 문제없습니다~~ ^^



취업 못하고 은행 문턱은 높아지고…'빚'도 못내는 청년들


2020~2021년 부동산 광풍이 지나가고 고금리에 경기 침체라는 두 가지 악재가 겹치면서 젊은 청년들이 금융시장에서 갈수록 소외되고 있다.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 때만 해도 '제로금리'에 가까운 초저금리에 '부동산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은다는 뜻의 은어)' 바람까지 거세게 불면서 20·30대 젊은 층은 중장년층 못지않게 금융 레버리지를 적극 활용했다.

그러나 2021년부터 기준금리가 상승했고 고금리 기조가 장기화되면서 청년들은 대출시장에서 밀려나고 있다. 오기형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NICE평가정보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39세 이하 차주의 대출 총액은 2021년 말 507조3654억원으로 정점을 찍은 뒤 매년 위축됐다. 지난해 말 492조7984억원까지 고꾸라졌다. 3년간 감소액이 약 15조원에 달한다. 반면 같은 기간 50세 이상 중장년층의 대출 총액은 818조원에서 840조원으로 22조원 증가했다.

이를 두고 금융권에서는 이자 부담이 세대별로 다르게 작용한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기준금리 3% 이상의 고금리가 지속되면 월간 이자 상환액도 높아질 수밖에 없는데, 청년층에선 이를 감당하지 못해 신규 대출을 줄이고 기존 대출을 상환한 경우가 많았다는 것이다. 이와 다르게 소득이 안정 구간에 도달한 중장년층은 레버리지를 적극 활용하며 부동산 등 가치가 떨어진 자산을 집중 매수할 수 있었다.

2023년 이후 강화된 정부의 가계대출 옥죄기도 영향을 끼쳤다. 금융당국이 제1·2금융권에 강력한 가계대출 관리를 주문하면서 은행 등 주요 금융사는 이자이익 증대를 도모함과 동시에 대출 총량을 안정적으로 관리해야 하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금융사는 상대적으로 우량한 담보를 보유하고 신용도도 높은 기성세대에겐 기존과 같이 여신을 내준 반면, 아직 소득이 적고 자산도 부족한 청년층을 대상으로는 대출을 까다롭게 관리했다.

현재의 가족 구성이 과거와 다르다는 점도 일정 부분 연관성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경제가 고속 성장하던 시기에는 30대에 독립하는 걸 당연시하는 분위기가 있었으나 현재는 나이를 먹어도 부모에게 의존하는 캥거루족이 늘어나고 있다. 이에 따라 50대 이후의 부모 세대가 자녀를 위해 대신 대출을 받아준 사례가 많을 것으로 추측된다. 김연성 한국경영학회장은 "통계 속 30대와 50대에는 부모와 자식 관계가 섞여 있을 것"이라며 "젊은 세대가 1인 가구 등으로 독립해서 산다고는 하지만, 본인 소유 집을 사기보다 부모 명의로 대출받는 경우도 많다"고 설명했다.

경기 침체가 장기화하면서 청년들이 대출받기조차 포기하고 있다고 해석되기도 한다. 젊은 층이 미래 성장을 기대하며 대출을 내서 집을 사고 열심히 일하는 것이 경제 성장의 한 동력이었는데, 한국 경제의 활기가 점차 사그라드는 단면일 수 있다는 것이다. 강성진 고려대 경제학과 교수는 "일반적으로 가계대출은 대부분 부동산 대출"이라며 "30대 이하 세대가 부동산을 살 여력이 없어지면서 부채를 줄이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중장년층은 청년보다 신규 대출을 수월하게 받았지만, 경기 침체로 빚을 갚는 데 버거움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0세 이상 중장년층에서 대출 원리금을 90일 미만 연체한 사람은 2024년 말 10만1652명으로 1년 새 4000명 늘었다. 39세 이하 차주 중 연체자가 2023년 말 9만6817명에서 지난해 말 8만9088명으로 대폭 줄어든 것과 대조적이다.

1000만원을 못 갚아 연체하는 차주도 중장년층에서 집중적으로 늘었다. 지난해 말 기준 1000만원 미만 소액 연체자는 39세 이하 차주 중 총 8만4314명으로 전년 말 대비 5000명가량 줄었으나, 같은 기간 50세 이상 구간에서는 5000명 이상 불어나며 총 9만4134명에 달했다. 일반적으로 금융권에서는 1000만원 이하 소액 연체자가 늘어나는 모습을 한계차주의 증가 양상으로 해석한다. 1000만원을 못 갚아서 자기 신용점수를 떨어뜨리는 가장이 그만큼 불어나는 것으로 보인다.

대출의 세대별 양극화는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관측된다. 금융당국은 올해 가계대출 증가폭을 경상성장률 이내에서 관리할 계획인데 2025년 성장률이 지난해보다 떨어질 것이란 예상이 많기 때문이다. 아울러 당국은 연도별로 관리하던 은행권 가계대출 총량도 분기별로 보다 촘촘하게 들여다보기로 했다. 금융사로서는 상대적으로 대출 연체에 대한 우려가 큰 청년층을 건너뛰고 기성세대 위주로 여신을 집행할 유인이 있는 셈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91 서경대학교 금융정보공학과 금융권취업 준비반 활동과 자소서 컨설팅 프로그램 file 서기수교수 2025-04-02 29
190 오늘의 채용] GS25‧신한은행‧LX판토스 서기수교수 2025-03-17 1259
189 일 잘하는 신입보다 조직문화에 적응잘하는 신입이 최고 file 서기수교수 2025-03-17 1166
188 5대 시중은행 올 상반기 공채 시작…농협銀, 하반기에 채용 서기수교수 2025-03-04 1778
187 연봉 1억원 신의직장’ 이라는데…"취업하기 더 힘들어졌다" 한숨 서기수교수 2025-03-04 1597
186 전북은행, 2025년 대학생 서포터즈 5기 모집 file 서기수교수 2025-03-04 2054
185 ‘꿈의 직장’ 금융권 취업문 좁아진다 서기수교수 2025-02-19 2423
» 취업 못하고 은행 문턱은 높아지고…'빚'도 못내는 청년들 서기수교수 2025-02-19 2165
183 청년 고용한파 굳어지나…체감실업률·고용률 4년만에 최대 악화 서기수교수 2025-02-19 2076
182 지식 나눔 나선 금융권…어린이·취준생·소상공인 교육 지원 서기수교수 2025-01-24 3093
181 AFPK와 CFP를 미리 취득하게 하는 학과!!!! 서기수교수 2025-01-24 3544
180 Z세대 43% “신입 취업, 나이 제한 없다” 서기수교수 2025-01-14 4866
179 “금융권 취업 찬스!”… 신입·인턴 채용 ‘후끈’ 서기수교수 2025-01-14 4677
178 2025년 금융권 채용 예상 일정 공지!! file 서기수교수 2024-12-20 6999
177 [이슈 In] '취업 스펙'도 다이어트가 필요하다 서기수교수 2024-11-05 11991
176 대학생 10명 중 6명 "AI로 취업 준비한다" 서기수교수 2024-11-05 12090
175 좁아지는 금융권 취업문…지방은행은? 서기수교수 2024-10-05 22631
174 "취업 혹한기라던데"…증권업계, '우수 인력 잡아라' 채용 활발 서기수교수 2024-10-05 24661
173 연봉은 많이, 영업 압박은 제로…업무환경에 매료됐어요” 인뱅 취업콘서트에 경력자 몰렸다 서기수교수 2024-10-05 22986
172 금융권 채용 때 아닌 '한파'…경기불황에 '허리띠 졸라매기' 서기수교수 2024-09-22 23376

교내퀵링크 Quick Links

교과목 이수체계도
전공교과목 상세안내
현재 페이지 QRCode
금융정보공학과 학사일정학교 및 학과 학사일정
금융정보공학과 싸이클럽싸이월드 클럽
N 공지사항
J 취업정보
G 갤러리
R RSS
구글 번역기를 이용해서 번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주세요~

금융정보공학과 사이트맵 금융정보공학과 사이트맵입니다